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 KOR
  • ENG
  • 정책·소통

    정책·소통

    정책·소통
    • 맞춤형 정책정보
    • 정책 체계도
      • 수요측면
        • 에너지 이용 합리화 기본계획
        • 에너지자원 기술개발 기본계획
      • 공급측면
        • 전력수급 기본계획
        •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 자원개발 기본계획
        • 천연가스 수급계획
        •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
        • 석탄산업 계획
        •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 정책 생각함
    • 정보 검증제안
  • 알림·뉴스

    알림·뉴스

    알림·뉴스
    • 공지사항
    • 재단활동
    • 오늘의 에너지 뉴스
    • 정책 보도자료
    • 글로벌 동향
    • 정보·자료
    • 인식조사
  • 에너지정보

    에너지정보

    에너지정보
    • 원자력
    • 석유·가스·석탄
    • 재생에너지·수소
    • 에너지절약·효율혁신
    • 에너지기술
  • 에너지교육

    에너지교육

    에너지교육
    • 자율탐구콘텐츠
    • 에너지사이버박물관
      • 에너지 역사
        • 인류 문명과 에너지
          • 최초의 에너지 불과 인류의 여명
          • 문명 활동의 근간이 된 에너지
          • 자연의 한계를 극복하게 한 화석연료
          • 에너지 위기, 자원 고갈과 기후변화 대응
          • 에너지 믹스 다변화의 시대
        • 한국의 에너지
      • 에너지원
        • 1차 에너지
        • 에너지의 변환
        • 에너지의 소비
      • 메타버스
    • 온라인교육
    • 오프라인교육
  • 열린혁신

    열린혁신

    열린혁신
    • 정보공개제도안내
    • 사업실명제
    • 경영공시
    • 공익법인공시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고객헌장
    • 윤리인권경영 게시판
    • 클린신고센터
    • 공공데이터 소통창구
    • 행동강령위반 신고
    • 갑질피해 신고센터
    • 계약의뢰이의제기 신청제도
  • 재단소개

    재단소개

    재단소개
    • 인사말
    • 설립목적 및 연혁
    • 경영전략
    • 주요사업
      • 국내외 에너지 및 원자력 정보분석
      • 지역에너지수용성 확보
      • 에너지 지식 확산
      • 에너지 정보소통 활성화
      • 대상별 눈높이 에너지교육실현
      • 에너지 정보관
    • 조직 및 연락처
    • 찾아오시는길
  • KOR
  • ENG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에너지정책소통센터
검색
인기검색어
원자력 에너지 하베스팅 소비전력
검색창 닫기
전체메뉴 닫기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에너지정책소통센터
KOR ENG
블로그 바로가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유튜브 바로가기 카카오페이지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검색
모바일 전체메뉴 닫기

에너지정책소통센터란?

에너지정책소통센터는 국민들이 최신 에너지 뉴스 · 정책과 다양한 에너지정책을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산업통상자원부 및 에너지 유관기관이 공동으로 에너지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 운영기관 :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참여기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에너지공단
한국가스공사
한국동서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동발전
전력거래소
에너지경제연구원
H2KOREA
한국에너지재단
산업방송채널 i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전 슬라이드 보기 다음 슬라이드 보기
레이어닫기
HOME
에너지정보
  • 정책·소통
  • 알림·뉴스
  • 에너지정보
  • 에너지교육
  • 열린혁신
  • 재단소개
재생에너지·수소
  • 원자력
  • 석유·가스·석탄
  • 재생에너지·수소
  • 에너지절약·효율혁신
  • 에너지기술
share

공유하기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복사
레이어닫기

에너지정보

  • 원자력
  • 석유·가스·석탄
  • 재생에너지·수소
  • 에너지절약·효율혁신
  • 에너지기술

에너지 생각함

에너지 관련 이슈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의견 등록하기

재생에너지·수소

share

공유하기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복사
레이어닫기

탄소중립, 세계에서 배운다 ② 청정의 땅 뉴질랜드, 그린수소 생산국을 꿈꾼다 (上)

탄소중립, 세계에서 배운다 ② 청정의 땅 뉴질랜드, 그린수소 생산국을 꿈꾼다
(上) 2050년까지 모든 전기를 재생에너지로 공급…수력발전소만 100여 곳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은 이제 에너지 산업의 변화를 넘어 사회‧경제 전반의 구조적 혁신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탄소 순 배출 ‘제로(0)’ 달성이라는 거대한 도전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긴밀하게 작용하고 있는 세계 각국의 ‘에너지-환경-산업’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
 
판타지 영화의 새로운 장을 연 ‘반지의 제왕’ 시리즈는 원작 소설의 시공간을 거의 완벽하게 구현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신비로운 영화 속 풍광에 매료된 이들은 영화의 배경이 CG가 아닌 뉴질랜드라는 것에 놀라곤 하는데요, 길게 펼쳐진 잔디 언덕과 이끼로 가득한 숲길, 험준한 바위산과 깊은 동굴, 만년설에 뒤덮인 설산 등을 보면 뉴질랜드가 왜 ‘청정의 땅’으로 불리는지 알 수 있습니다.
 
회색의 간달프가 여정에 나서는 장면의 배경이 된 뉴질랜드의 설산
회색의 간달프가 여정에 나서는 장면의 배경이 된 뉴질랜드의 설산 Ⓒ Warner Bros. Pictures

 
 
친환경 정책의 모든 것이 담긴 ‘뉴질랜드 에너지 전략 2050’
 
태초의 신비를 간직한 뉴질랜드는 태평양 남서부에 위치한 섬나라입니다. 북섬과 남섬을 비롯한 600여 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는 뉴질랜드는 화산 폭발과 육지의 융기로 형성된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력, 지열, 풍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기에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한 정책이 더해져 세계적인 친환경 국가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적극적인 친환경 에너지 전략을 추진해왔습니다. 전기차를 대중화하여 교통수단의 탄소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교통 체계를 만드는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또 재생에너지의 경쟁력을 높이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체계를 갖추기 위한 제도를 마련해왔는데요, 이러한 정책은 ‘뉴질랜드 국가 에너지 전략 2050(NZ Energy Strategy 2050)’을 통해 한 단계 강화된 상태입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전략인 이 정책은 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적 책임을 강조하며 재생에너지 활용에 최적화된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2030년까지 석탄 등의 화석연료 사용 제로(ZERO)를 달성하고 2035년까지 모든 전기 인프라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뉴질랜드 국가 에너지 전략 2050(NZ Energy Strategy 2050)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뉴질랜드 국가 에너지 전략 2050(NZ Energy Strategy 2050)’ Ⓒ 뉴질랜드 혁신경제산업부(MBIE) 
 
 
전체 전력의 8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 수력발전소만 100여 곳
 
뉴질랜드는 전체 전력량의 80% 이상을 수력, 지열, 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얻고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수력발전이 뉴질랜드 전체 발전 전력의 60%에 달할 만큼 풍부한 수자원을 자랑하는데요, 특히 남섬에는 대규모의 수력발전소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대규모 분화 호수와 담수호가 많은 지형적 특징을 가진 뉴질랜드의 수력발전소는 무려 100여 곳에 달합니다. 
 
이중 세계적인 규모의 피오르랜드 국립공원(Fiordland National Park)에 위치한 마나포우리발전소(Manapouri Power Station)와 와이타키 계곡(waitaki valley)의 벤모어 발전소(Benmore Power Station)는 특히 친환경 발전소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발전소들은 주변 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댐 건설이 진행되었으며, 벤모어 발전소의 경우 콘크리트 대신 흙을 이용하는 기술이 사용되었습니다.
 
캔터베리 지역에 위치한 벤모어 댐
캔터베리 지역에 위치한 벤모어 댐은 거대한 자갈과 저투과성 점토로 지어졌습니다. Ⓒ Stug.stug
 
 
▶ (下)  세계 최대 지열발전소 등 풍부한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그린수소’ 생산 바로가기
 
* 연관콘텐츠
탄소중립, 세계에서 배운다 ① 세계 최초 실용화, 스위스의 그린수소 밸류체인
https://www.etrans.or.kr/info/list.php?prd_cate=4&make=&search=%EC%8A%A4%EC%9C%84%EC%8A%A4&admin_mode=read&no=4348​
 
 

관련링크 :

https://blog.naver.com/energyinfoplaza/222666037331

출처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목록으로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찾아오시는길 사이트맵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Korea Energy Information Culture Agency

(08548) 서울특별시 금천구 남부순환로 1418대표전화 02-859-0011

COPYRIGHT(C)KEIA ALL RIGHT RESERVED.

블로그 바로가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유튜브 바로가기 카카오페이지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EB 접근성 웹아치(WwbWatch) 2024.07.05~2025.07.04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찾아오시는길 사이트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EB 접근성 웹아치(WwbWatch) 2024.07.05~2025.07.04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Korea Energy Information Culture Agency

(08548) 서울특별시 금천구 남부순환로 1418 대표전화 02-859-0011

COPYRIGHT(C)KEIA ALL RIGHT RESERVED.

맨 위로
메인 사이트맵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