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재생에너지 백과사전 신재생에너지 관현 경제 용어 EP.13
#그린본드 (Green Bond) 친환경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자금 사용 목적이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화, 지속가능한 폐기물관리 등 친환경 프로젝트로 제한됨. EWP S TIP 초기에는 세계은행, 유럽투자은행 등 국제기구에서 발행하다가 현재는 민간에서도 발행하고 있어요. 국내 그린본드 신규 상장금액은 2018년 6000억 원에서 2021년 3조 180억 원으로 증가했어요.
#그린 론 (Green Loan) 신재생에너지, 고효율에너지,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 관련 분야로 용도가 제한된 대출. 글로벌 인증기관의 친환경 인증을 받아야 함. EWP S TIP 기업이 그린론으로 자금을 조달할 경우 사업의 친환경성을 인정받을 수 있고, 금리 또한 유리하게 적용받을 수 있어요. 그린본드와 달리 분할인출이 가능해 자금 관리가 효율적 이죠. 친환경 인증
#그린 택소노미 (Green Taxonomy)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의 범위를 정한 것으로 어떤 산업이 친환경인지 아닌지를 분류하는 기준과 체계. EWP S TIP 유럽연합이 2020년 6월부터 도입해 2022년 2월에 최종안을 확정했어요. 지속가능한 사업을 찾아내 그 산업에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린워싱을 방지할 수 있어요. *그리위식(greenwashing); 친환경 경영과 거리가 멀지만 마치 그런 것처럼 세탁해 홍보하는 행위
#그린 스완(Green Swan)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파괴적인 경제와 금융위기.예측은 어렵지만 반드시 일어난다는 확실성이 있음. EWP S TIP 2020년 1월 발간된 국제결제은행(BIS)보고서에서 처음 언급했어요.보고서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돼 대규모 피해를 초래한 코로나19를 그린 스완으로 지목했죠.
#녹색가격제도 소비자가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일반 전기요금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구매함으로써 초과하는 에너지 비용을 자발적으로 부담하는 제도.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는 장점, 소비자는 높은 가격을 지불하더라도 친환경 소비를 할 수 있음. EWP S TIP 1996년 독일에서 에코전력(Oekostrom)이라는 명칭으로 시작됐어요. 녹색가격제도를 통해 전력을 구입하면 전력사와 소비자 사이의 정보 공유로 투명한 거래가 가능해요. W녹색가격제도
한국동서발전(주) 지속가능한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오늘은 신재생에너지 관련 경제 용어를 알아봤는데요. 뉴스 속 어려운 용어들! 오늘부터는 쉽게 이해하실 수 있겠죠? 신재생에너지 경제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