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팩트체크 신재생에너지 일자리 감소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일자리가 감소한다? EWP 한국동서발전(주)
오늘의 팩트체크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일자리가 감소한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어요.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투자.부품 제조 분야에 다양한 경제적 효과도 기대되고 있는데요.
석탄산업 축소로, 일자리가 감소한다? 신재생에너지의 전환은 곧 화석연료 관련 산업의 축소를 말하죠. 이에 석탄산업과 같은 대규모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하는데요. 과연 팩트일까요?
팩트체크 석탄산업 축소로 기존 일자리의 감소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따른 지역 불균형 문제 에너지 전환에 필요한 기술·직업 역량의 부족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의 가치사슬·공급사슬 문제팩트체크 사실이 아니다!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때문이다? 나가사 기존 일자리가 감소하고 사회구조적 문제가 생겨날 순 있지만, 이 문제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으로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려운데요. 산업구조가 바뀌면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과정 중 하나이고, 사회 문제 외에 창출되는 가치를 함께 바라봐야 하죠.
팩트체크 지난 10년간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분야 고용, 2020년 기준 약 1,200만 명태양광 발전 398만 명 바이오에너지 352만명수력 발전 218만 명 *풍력 발전 218만명 2010년부터 탄소중립이 글로벌 미션으로 부상하며 일자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요. 건설·설치·운송과 같은 현장 작업자 각 에너지별 전문 기술 인력까지,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체가 성장하며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이뤄냈는데요. *출처_IRENA: Renewable Energy and Jobs(2021)
팩트체크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86만 개, 2050년까지 120만 개 고용 창출 기대 전체 노동 인구의 3~4% 규모 81~86만 개 2022년~2030년 90~120만개 2031년~2050년 우리나라의 일자리 상승 추세 역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2050년에는 전체 노동 인구의 약 4%가 신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에서 일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창출되는 일자리의 임금수준은 전체 산업 평균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양질의 일자리가 대규모로 생겨나는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어요.*출처_그린피스: 한국 에너지 대전환의 일자리 창출 효과 분석 2022.03
팩트체크 고용 규모에 맞는 기술인력 양성 정책과 지원 방안이 필요 신재생에너지 분야 고용이 2050년 약 2,000만 명으로 증가하지만 지구 평균기온 1.5℃ 이하 상승이 가능한 수준의 글로벌 기후변화 정책을 따를 경우 Q약 4,300만 명으로 증가한다.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국제노동기구(ILO) 보고서 中 고용시장의 확대와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이 순항하기 위해서는 정책과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하는데요. 기존 인력의 리스킬링(Reskilling)과 스킬링(Upskilling)을 통해, 기회의 시기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가 경제 성장의 관건이 될 것이라 분석됩니다.
동서발전이 기술인력 양성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에너지 전환을 기회의 시기로 만들겠습니다!! 동서발전의 신재생에너지,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EWP 한국동서발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