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동서발전(주) 알쏭달송 에너지 탄소중립= VS 넷제로0
탄소배출 절감이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트 계 탄소중립, 넷제로 와 같은 용어들을 쉽게 접하는데요. 탄소중립과 넷제로, 같은 말 아니야? 알쏭달쏭 에너지가 명확하게 알려드립니다. 1997년 채택된 교토의정서 가 삭감 대상으로 지정한 온실가스 이산화탄소(CO2) 메탄 (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온실가스 모두를 다루는 넷제로 VS 이산화탄소만을 다루는 탄소중립 HFCS N2O CH4 PFCs CO2 SF6 넷제로 6가지 온실가스 모두의 배출량을 0으로 탄소중립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0 으로 처음 탄소중립과 넷제로의 개념이 만들어졌을 때는 무엇의 순배출량을 0 으로 만드는 것인가에 따라 구분했어요. 넷제로가 6가지 온실가스 모두를 다루는 개념이므로 탄소중립은 넷제로에 포함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었죠.
그런데 탄소중립과 넷제로가 다루는 온실가스 종류에 의해 다른 개념 이라는 이야기, 이제는 그렇게 구분해선 안 된다고 해요. 2023년부터 시행된 탄소중립기본법이 탄소중립 역시 6가지 온실가스를 모두 상쇄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탄소중립과 넷제로가 같은 종류의 온실가스를 다루는 개념이 됐기 때문이죠. 탄소중립+넷제로
그렇다면 탄소중립과 넷제로는 같은 개념일까? 탄소중립 이미 배출한 탄소를 상쇄하기 위한 활동에 비중을 두는 개념 넷재로 탄소량을 고려해 배출량을 절감하는 개념 하지만 탄소중립과 넷제로를 여전히 구분하는 경우가 많아요. 온실가스의 종류보다 배출한 이후에 초점을 맞추는지, 배출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지에 따라 구분해 사용하고 있는데요.
탄소중립 탄소중립은 이미 배출한 탄소를 상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탄소 배출량과 상쇄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나무를 심거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활동이 탄소중립에 가까워요.
넷제로 반면 넷제로는 처음부터 배출되는 탄소량을 줄이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100% 친환경 건물을 짓는 활동이 넷제로에 가까운 개념입니다.
탄소중립과 넷제로, 이렇게 기억하세요! 탄소중립기본법에 의해 두 개념 모두 6가지 온실가스를 모두 다루지만 탄소중립은 배출한 이후를, 넷제로는 배출하기 전을 다루는 개념 알쏭달쏭한 에너지가 있다면 댓글로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