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 희망 부산엑스포, 국가대표 에너지기업 한전이 응원합니다. 한전과 함께하는 전격 탐구 에너지 고갈 극복을 위한 대체에너지 풍력발전기 편
바람을 전력으로 바꾸는 타워 풍력발전기 대관령이나 제주도 등 곳곳에 커다란 바람개비를 본 적 있으시죠? 바로 풍력발전기인데요. 오늘은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의 대명사 풍력발전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람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풍력발전기의 원리 풍력발전기의 내부는 날개 변속장치, 발전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람이 불면 날개가 회전을 하게 되어, 풍력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장치입니다. 발전기는 이렇게 전달된 기계에너지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주는 것이죠. 1바람이 불어 풍력발전기의 날개가 회전 2날개의 변속장치로 발전기를 회전시킴 3발전기가 기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공급
최초의 시작 풍력발전기의 기원 사실 풍력발전기는 오래전부터 인류가 사용하던 중요한 발전설비였습니다. 풍력발전기는 풍차로부터 시작되었는데요. 고대 페르시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효율성과 구조 개선을 거듭해 눈에 띄게 형태가 달라진 것이죠. 전기가 동력으로 사용되기 전, 풍차는 배수와 방앗간 사용의 동력으로 사용되었고 전기가 동력으로 사용된 후 풍력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한 것은 1887년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고대페르시아 풍차 세계 최조의 풍력발전기 출처 : 위키백과
풍차에서 시작된 풍력발전기의 현재 발전 건 풍차 현재의 풍력발전기 세계 최초의 MW급 풍력발전용 터빈은 1941년 미국 버몬트 주 캐슬턴의 지역 배전시스템에 연결된 것인데요. 3개의 날개가 달린 풍차의 형태는 1957년 덴마크에서 개발된 이후 이 형태에서 발전하여 전 세계로 확대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975년 3월 22일 한국 과학원에서 경기도 송산면 어도(엇섬)에 풍력발전기를 세웠으며, 이것이 공식적인 국내 최초 풍력발전기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바람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풍력발전기의 장점 우수한 전력 생산성 대규모 설치시 낮은 발전 단가 전력생산 과정에서 배출되지 않는 오염물질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으로 관광자원 활용 풍력발전은 전력 생산성이 우수하며, 대규모 설치 시 발전단가가 낮습니다. 또한 전력 생산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며,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방식으로 화석연료 대체효과가 큽니다. 낙후 지역에 경제성이 있는 전력 보급도 가능하며,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으로 관광자원으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풍력발전 활성화를 위한 한전의 노력 국토 면적이 좁은 한국에서 풍력발전 활성화를 위해 한전은 해상풍력 단지 조성에 다양한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100MW 규모의 한림해상풍력 발전소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상풍력 일괄설치 기술을 세계 최초로 21년도에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유관기관들과 함께 사업전 분야 경험을 공유하며 기술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상풍력단지 조성 해상풍력 일괄설치 기술 개발 유관기관들과 경험공유
오늘은이렇게 풍력발전기에 대해 원리부터 장점까지 자세희 알아보았는데요. 유익한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전과 함께하는 전격 탐구! 다음 편도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