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매스 Vs 화석연료 [생물체의 성장이나 재배, 또는 폐기물의 자원화를 통해 지속적인 생성 가능 / 양이 한정되어 있어 언젠가는 고갈] [광합성으로 이산화탄소 흡수 /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발생]](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d08bf7ac-5208-4dfc-868b-43bc52f23a9d.jpg)

![차세대 신재생에너지의 주인공!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에너지는 동식물의 유기물질(바이오매스]을 원료로 하여 생성되는 에너지를 말해요. 주로 나무, 작물, 동물의 배설물, 음식물 쓰레기 등에서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연소하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해 전기나 열을 생산한답니다.](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306cae3f-9866-4ecb-8b2d-f8ba386d61cb.jpg)
![차세대 신재생에너지의 주인공! 바이오에너지 [식물 기반 바이오매스] - 옥수수, 사탕수수, 밀 등 농작물에서 에탄올 또는 바이오디젤 생산, 임업 잔재물, 폐목재 등의 목질 재료를 연소하거나 가공해 연료로 변환하여 사용 [동물 기반 바이오매스] - 가축 분뇨를 활용하여 혐기성 소화를 통해 바이오가스(메탄)를 생산하며 동물성 지방을 바이오디젤의 연료로 활용 [유기폐기물] - 음식물 쓰레기, 농업 부산물 등에서 바이오가스 또는 열에너지 생성 [미생물] -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이 특정 조건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거나 바이오연료를 합성하며, 조류[수생생물] 등이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과 같은 연료로 전환되어 사용](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33bcdbae-b280-4237-b07e-dc2cbe808457.jpg)
![궁금하다 궁금해! 바이오에너지의 원리와 구조 ※ 혐기 발효 :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미생물이 발효하여 생산하는 것 [알콜 발효, 아세톤 발효 등] 1) 유기성폐기물 2) 혐기 발효 3) 메탄가스 발생 4) 터빈 가동 5) 전력 생산](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24558abf-78b7-4b45-a113-719459fda4f7.jpg)
![한 걸음 더! 바이오에너지, 이렇게 사용돼요! [매립가스를 포집] ※포집[捕執]: 물질 속에 있는 미량 성분을 분리하여 잡아 모으는 일 - 보일러에서 메탄(CH4)를 연소해 과열 증기 생산 [메탄(CH4)을 보일러로 공급해 보일러에서 연소] ※ 연소[燃燒]: 물질이 산소와 화합 시, 많은 빛과 열을 내는 현상 - 쓰레기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지가스 중 가연성 기체인 메탄(CH4)를 포집해 발전의 열원으로 사용 [과열증기로 터빈과 발전기 가동 및 전력 생산] -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과열 증기로 터빈 발전기를 가동시켜 전력 생산, 송전 계통을 통해 이를 한전으로 공급 [잔열의 재생산] ※ 순환수 : 대기권, 수권, 암석권 사이의 순환하는 물. 비로 내린 물이 지표나 지하로 흐르다 다시 증발하는 과정 - 터빈과 발전기 가동 시 증기의 일부가 급수의 가열에 재사용되고, 나머지 폐열은 복수기를 통해 순환수 계통으로 방출되며 이를 한전으로 공급](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68e619b8-d4c4-4c59-9ecf-8700b1ed499e.jpg)
![한 걸음 더! 바이오에너지의 장점은? [재생 가능성] - 자연 속에서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에요. [에너지 자립성] - 국가적으로 바이오에너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일 수 있어요. [에코미] 특히 농업이 발달한 지역에서는 자국 내 바이오매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코미! [세코미] 이를 통해 수입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코미~~!](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9670b868-7328-4d96-b2c6-a6413f06e7c5.jpg)
![한 걸음 더! 바이오에너지의 장점은? [폐기물 감소] - 농업 및 산업 폐기물, 생활 쓰레기 등을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므로 쓰레기 처리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환경 보호에도 효과적이에요. [온실가스 배출 감소] - 바이오에너지는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가 다시 식물의 광합성 과정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탄소 중립이라는 특성을 가져요. 따라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지요!](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13826dc1-f99c-4e27-b73c-9c9b944135b8.jpg)

한계란 없다! 무한한 에너지 생산!
바이오에너지
바이오매스 Vs 화석연료
[생물체의 성장이나 재배, 또는 폐기물의 자원화를 통해 지속적인 생성 가능 / 양이 한정되어 있어 언젠가는 고갈]
[광합성으로 이산화탄소 흡수 /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발생]
여러분은 지구온난화가 무분별한 화석연료 사용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전 지구적으로 '탄소배출량'의 규제가 강해지고 있지만, 석탄이나 석유를 아예 사용하지 않을 수도 없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줄 '바이오에너지'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전 지구적으로 '탄소배출량'의 규제가 강해지고 있지만, 석탄이나 석유를 아예 사용하지 않을 수도 없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줄 '바이오에너지'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차세대 신재생에너지의 주인공!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에너지는 동식물의 유기물질(바이오매스]을
원료로 하여 생성되는 에너지를 말해요.
주로 나무, 작물, 동물의 배설물, 음식물 쓰레기 등에서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연소하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해 전기나 열을 생산한답니다.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에너지는 동식물의 유기물질(바이오매스]을
원료로 하여 생성되는 에너지를 말해요.
주로 나무, 작물, 동물의 배설물, 음식물 쓰레기 등에서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연소하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해 전기나 열을 생산한답니다.
차세대 신재생에너지의 주인공!
바이오에너지
[식물 기반 바이오매스]
- 옥수수, 사탕수수, 밀 등 농작물에서 에탄올 또는 바이오디젤 생산, 임업 잔재물, 폐목재 등의 목질 재료를 연소하거나 가공해 연료로 변환하여 사용
[동물 기반 바이오매스]
- 가축 분뇨를 활용하여 혐기성 소화를 통해 바이오가스(메탄)를 생산하며 동물성 지방을 바이오디젤의 연료로 활용
[유기폐기물]
- 음식물 쓰레기, 농업 부산물 등에서 바이오가스 또는 열에너지 생성
[미생물]
-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이 특정 조건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거나 바이오연료를 합성하며, 조류[수생생물] 등이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과 같은 연료로 전환되어 사용
바이오에너지
[식물 기반 바이오매스]
- 옥수수, 사탕수수, 밀 등 농작물에서 에탄올 또는 바이오디젤 생산, 임업 잔재물, 폐목재 등의 목질 재료를 연소하거나 가공해 연료로 변환하여 사용
[동물 기반 바이오매스]
- 가축 분뇨를 활용하여 혐기성 소화를 통해 바이오가스(메탄)를 생산하며 동물성 지방을 바이오디젤의 연료로 활용
[유기폐기물]
- 음식물 쓰레기, 농업 부산물 등에서 바이오가스 또는 열에너지 생성
[미생물]
-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이 특정 조건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거나 바이오연료를 합성하며, 조류[수생생물] 등이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과 같은 연료로 전환되어 사용
궁금하다 궁금해!
바이오에너지의 원리와 구조
※ 혐기 발효 :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미생물이 발효하여 생산하는 것 [알콜 발효, 아세톤 발효 등]
1) 유기성폐기물
2) 혐기 발효
3) 메탄가스 발생
4) 터빈 가동
5) 전력 생산
바이오에너지의 원리와 구조
※ 혐기 발효 :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미생물이 발효하여 생산하는 것 [알콜 발효, 아세톤 발효 등]
1) 유기성폐기물
2) 혐기 발효
3) 메탄가스 발생
4) 터빈 가동
5) 전력 생산
한 걸음 더! 바이오에너지, 이렇게 사용돼요!
[매립가스를 포집]
※포집[捕執]: 물질 속에 있는 미량 성분을 분리하여 잡아 모으는 일
- 보일러에서 메탄(CH4)를 연소해 과열 증기 생산
[메탄(CH4)을 보일러로 공급해 보일러에서 연소]
※ 연소[燃燒]: 물질이 산소와 화합 시, 많은 빛과 열을 내는 현상
- 쓰레기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지가스 중 가연성 기체인 메탄(CH4)를 포집해 발전의 열원으로 사용
[과열증기로 터빈과 발전기 가동 및 전력 생산]
-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과열 증기로 터빈 발전기를 가동시켜 전력 생산, 송전 계통을 통해 이를 한전으로 공급
[잔열의 재생산]
※ 순환수 : 대기권, 수권, 암석권 사이의 순환하는 물. 비로 내린 물이 지표나 지하로 흐르다 다시 증발하는 과정
- 터빈과 발전기 가동 시 증기의 일부가 급수의 가열에 재사용되고, 나머지 폐열은 복수기를 통해 순환수 계통으로 방출되며 이를 한전으로 공급
한 걸음 더! 바이오에너지의 장점은?
[재생 가능성]
- 자연 속에서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에요.
[에너지 자립성]
- 국가적으로 바이오에너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일 수 있어요.
[에코미]
특히 농업이 발달한 지역에서는 자국 내 바이오매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코미!
[세코미]
이를 통해 수입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코미~~!
[재생 가능성]
- 자연 속에서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에요.
[에너지 자립성]
- 국가적으로 바이오에너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일 수 있어요.
[에코미]
특히 농업이 발달한 지역에서는 자국 내 바이오매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코미!
[세코미]
이를 통해 수입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코미~~!
한 걸음 더! 바이오에너지의 장점은?
[폐기물 감소]
- 농업 및 산업 폐기물, 생활 쓰레기 등을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므로 쓰레기 처리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환경 보호에도 효과적이에요.
[온실가스 배출 감소]
- 바이오에너지는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가 다시 식물의 광합성 과정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탄소 중립이라는 특성을 가져요. 따라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지요!
한국중부발전, 제주 발전소
친환경 바이오유 연료 전환 완료!
한국중부발전 제주발전본부는 2014년 국내 최초로
기력발전기의 바이오유 연료전환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벙커C유 내연발전기까지 바이오유로 연료 전환을 완료했어요.
앞으로도 한국중부발전은 탄소중립에 앞장서며
대한민국 NO.1 에너지 공기업으로의 책무를 다할테니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
친환경 바이오유 연료 전환 완료!
한국중부발전 제주발전본부는 2014년 국내 최초로
기력발전기의 바이오유 연료전환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벙커C유 내연발전기까지 바이오유로 연료 전환을 완료했어요.
앞으로도 한국중부발전은 탄소중립에 앞장서며
대한민국 NO.1 에너지 공기업으로의 책무를 다할테니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