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지알지 ENERGY 알아두면 쓸모있는 온실가스 줄이는법 2탄-탄소세 편 한국지역난방공사
탄소세란? 탄소세는 말 그대로 탄소에 부과하는 세금이라는 뜻인데요! 석유나 석탄 등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화석연료를 사용할 때 탄소 함유량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로 스웨덴, 영국, 일본 등 현재 27개국이 시행 중인 제도입니다
탄소세 제도 왜 필요한가요? 화석 연료의 가격을 전반적으로 인상함으로써 화석 연료 이용을 억제하려는 목적인데요 석탄 사용량에 따라 더 높은 세금을 매기게 되면, 생산 주체 기업들은 석탄 사용을 줄이게 됩니다 석탄 사용을 줄이면 대체에너지 개발을 촉진해 간접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외 탄소세 도입 사례 스웨덴 1991년 탄소세 도입 2017년 기준 약 26%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덴마크 1992년 탄소세 도입 2005년 기준 약 4940톤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영국 CO2 2001년 탄소세 도입 2015년 기준 약 27.3%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1990년 핀란드에서 처음 도입된 후 유럽 국가들에 도입되면서 지금은 세계 각국에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시행하고 있나요? 현재 우리나라는 아직 탄소세를 도입하지 않았는데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세 도입과 관련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국회에서 탄소세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습니다
오늘은 탄소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으로 더 심해지는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해 먼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건 어떨까요? 한국지역난방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