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 2023년도 에너지총조사 결과 발표[25.3.15.)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우리나라 에너지원단위 22년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소비는 19년 2.27억toe 대비 2.30억toe로 연평균 0.5% 증가한 반면, 에너지소비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는 연평균 1.6%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세의 깨알상식!] 에너지원단위 : 단위 GDP를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 ※ 수치가 낮을수록 에너지효율이 높음을 의미 에너지원단위는 95년 이후 30년간 꾸준히 수치가 낮아지고 있는데요, 에너지원단위의 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1a808bd8-12a5-4dba-aada-1f983e09f2ce.jpg)
![[에너지원단위 변화] 2019년~2022년 기준 GDP는 연평균 2.2% 증가한 데 비해 에너지 소비는 0.5%만 증가하여 에너지원단위는 연평균 1.6% 개선! 에너지원단위: 에너지소비량 실질GDP 숫자가 낮을수록 에너지 효율성이 높음 우리 경제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해 가고 있다는 의미!](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9ed7bfbd-063f-4d87-b46b-1f6f93560a4b.jpg)
![[부문별 에너지 소비 구조] 부분 [19년 대비 평균 증감율 / 주요 원인] 산업 : 0.8% 상승 / 제조업 원료 소비 증가 등 수송 : 0.6% 하락 / 친환경차 보급 확대 상업·공공 : 2.1% 상승 / 냉·난방 설비 사용 증가 등 가정 : 0.4% 하락 / 고효율 가전 보급 확대 에너지총조사 결과 및 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가통계포털,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KESIS), 국가온실가스배출량종합정보시스템[NETIS)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https://www.e-policy.or.kr/upload/editor/cdee3ff9-35df-4cd3-8f1c-7b388d0470d0.jpg)

함께해, 에너지효율
에너지원단위 개선으로
에너지 효율 UP!
산업부, 2023년도 에너지총조사 결과 발표['25.3.15.)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우리나라 에너지원단위
' 22년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소비는 '19년 2.27억toe 대비
2.30억toe로 연평균 0.5% 증가한 반면, 에너지소비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는 연평균 1.6%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세의 깨알상식!]
에너지원단위 : 단위 GDP를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 ※ 수치가 낮을수록 에너지효율이 높음을 의미
에너지원단위는 '95년 이후 30년간 꾸준히 수치가 낮아지고 있는데요, 에너지원단위의 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우리나라 에너지원단위
' 22년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소비는 '19년 2.27억toe 대비
2.30억toe로 연평균 0.5% 증가한 반면, 에너지소비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는 연평균 1.6%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세의 깨알상식!]
에너지원단위 : 단위 GDP를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 ※ 수치가 낮을수록 에너지효율이 높음을 의미
에너지원단위는 '95년 이후 30년간 꾸준히 수치가 낮아지고 있는데요, 에너지원단위의 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에너지원단위 변화]
2019년~2022년 기준 GDP는 연평균 2.2% 증가한 데 비해 에너지 소비는 0.5%만 증가하여 에너지원단위는 연평균 1.6% 개선!
에너지원단위: 에너지소비량 실질GDP
숫자가 낮을수록 에너지 효율성이 높음 우리 경제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해 가고 있다는 의미!
[부문별 에너지 소비 구조]
부분 [19년 대비 평균 증감율 / 주요 원인]
산업 : 0.8% 상승 / 제조업 원료 소비 증가 등
수송 : 0.6% 하락 / 친환경차 보급 확대
상업·공공 : 2.1% 상승 / 냉·난방 설비 사용 증가 등
가정 : 0.4% 하락 / 고효율 가전 보급 확대
에너지총조사 결과 및 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가통계포털,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KESIS),
국가온실가스배출량종합정보시스템[NETIS)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분 [19년 대비 평균 증감율 / 주요 원인]
산업 : 0.8% 상승 / 제조업 원료 소비 증가 등
수송 : 0.6% 하락 / 친환경차 보급 확대
상업·공공 : 2.1% 상승 / 냉·난방 설비 사용 증가 등
가정 : 0.4% 하락 / 고효율 가전 보급 확대
에너지총조사 결과 및 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가통계포털,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KESIS),
국가온실가스배출량종합정보시스템[NETIS)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경제의 에너지 효율성 지표인
에너지원단위
앞으로도 국가 에너지 효율 향상에 한국에너지공단이 함께하겠습니다!
에너지소비 효율등급 표시제도,
최저소비효율기준 제도,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도,
에너지 효율혁신 파트너십(KEEP30),
자발적 에너지효율목표제...
에너지원단위
앞으로도 국가 에너지 효율 향상에 한국에너지공단이 함께하겠습니다!
에너지소비 효율등급 표시제도,
최저소비효율기준 제도,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타이어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도,
에너지 효율혁신 파트너십(KEEP30),
자발적 에너지효율목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