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류와 직류송전이 모두 가능한 스마트 변압기 스마트 변압기는 [교류/직류] - [직류/직류] - [직류/교류] 3단계의 변환단계를 가진 변압기로 어떠한 형태의 입력전기가 들어와도 동일한 출력전기를 내보냅니다. 스마트 변압기는 다양한 전기형태가 발생하는 샌재생 에너지 활성화에 적합한 변압기이며 기존 교류전력망이 아닌 직류전력망 구현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변압기입니다. [스마트 변압기 (Smart transformer)] 22.9kV AC DC AC AC DC DC 220V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upload/editor/0ec3570d-3ee7-4ad7-9d19-7b1df82cdf03.jpg)

국민의 희망 부산엑스포, 국가대표 에너지기업 한전이 응원합니다. 전기 전문지식을 공유하는 전력산책 제1편 스마트 변압기와 차세대 송전망
국민의 희망 부산엑스포, 국가대표 에너지기업 한전이 응원합니다. 에디슨과 테슬라의 전류전쟁 전기의 흐름인 전류는 한 방향으로 연속해서 흐르는 직류(Direct Current)와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방향이 바뀌는 교류(Alternating Current)로 구분됩니다. 전류 흐름이 다른 것은 전류를 만드는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에디슨 직류전기는 100여년전 에디슨이 발명하였고, 에디슨과 함께 일했던 테슬라는 장거리 송전과 설치비용에 유리한 교류 전기의 우위를 주장하였습니다. 이후 사용할 전류방식을 두고 벌인 전류전쟁은 잘 알려져 있지요. 테슬라
국가대표에너지기업 한전이 응원합니다. 코일형 변압기를 사용한 장거리 교류송전방식 대부분의 발전소 전기는 장거리 송전을 통해 사용지로 전달 됩니다. 장거기 송전은 전력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전압을 높입니다(승압). 교류전기는 코일형 변압기를 사용하여 승압 및 강압(전압을 낮춤)을 합니다. 코일형 변압기는 입력단에 코일 감은 횟수와 출력단에 코일의 감은 횟수의 비율만큼 입력 대비 출력 전압이 결정됩니다. 교류가 현대 전류의 대세가 되는데 코일형 변압기가 많은 기여를 하였습니다. 입력단에 감은 코일의 횟수 : 출력단에 감은 코일의 횟수= 입력전압 : 출력전압 입력단 출력단 코일형 변압기
재생에너지 발전의 증가로 인한 직류전력망의 부활 하지만, 최근 석유나 LNG 등 화석연료 기반의 발전이 태양광, 풍력 같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으로 급격히 대체되고 있습니다. 신재생 발전은 직류 전력망 형태입니다. 태양광 발전은 직류전기를 생산하고, 송전용 전압인 765kV로 승압하고 이를 기존 교류 송전망에 싣기 위해 다시 교류로 변환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됩니다. 전력 반도체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변압기가 그 역할을 합니다. 직류직류 전력반도체 변압기 최고 765kV까지 승압 직류-직류 전력반도체 변압기 22.9kV ▶강압 및 220V로 변환
교류와 직류송전이 모두 가능한 스마트 변압기 스마트 변압기는 [교류/직류] - [직류/직류] - [직류/교류] 3단계의 변환단계를 가진 변압기로 어떠한 형태의 입력전기가 들어와도 동일한 출력전기를 내보냅니다. 스마트 변압기는 다양한 전기형태가 발생하는 샌재생 에너지 활성화에 적합한 변압기이며 기존 교류전력망이 아닌 직류전력망 구현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변압기입니다. [스마트 변압기 (Smart transformer)] 22.9kV AC DC AC AC DC DC 220V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
탄소중립 시대 하이브리드 전력망 전류전쟁은 테슬라의 교류전기의 승리로 오래전 막을 내린 듯 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탄소중립시대 신재생 발전으로 전류전쟁은 다시 시작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류 전력망이 직류 전기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전력망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전력반도체 기술의 스마트 변압기를 통해 탄소중립시대 전력망의 모습은 어떻게 진화할지 관심거리입니다.